분류
관련 문서: 엔트리
1. 개요 [편집]
엔트리와 타 사이트의 차이점을 정리한 문서.
2. 스크래치와의 비교 [편집]
2.1. 엔트리의 장점 [편집]
- 엔트리는 글상자 기능[2]이 있고, 스크립트로 글의 내용을 바꿀 수 있는 반면, 스크래치는 말하기 블록으로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면 글을 띄워서 스크립트로 내용을 바꿀 수 있는 기능은 없다.
- 엔트리는 '장면'이라는 기능이 있어 스크래치에서 오브젝트 숨기기/보이기 블록으로 처리해야 하는 부분을 엔트리에서는 간단히 장면 전환으로 처리할 수 있다.[3]
- 엔트리는 인공지능[4] 블록들과 확장 블록, 하드웨어 블록 등 스크래치에 비해 더 많은 외부기능을 지원한다.
- 엔트리는 테이블 코드가 존재하지만 스크래치는 테이블을 지원하지 않는다.
- 엔트리의 재귀함수는 한 프레임에 한 번에 실행된다.
- 스크래치는 작품을 정지했을 때 정지 직전의 상태 그대로 멈추는 반면, 엔트리는 실행 직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. 때문에 엔트리는 변수나 오브젝트 등을 초기화 시키는 작업이 필요 없다.
- 엔트리는 캔버스 밖까지 오브젝트를 옮길 수 있지만, 스크래치는 캔버스 안쪽까지로 제한된다.
- 엔트리는 여러 오브젝트를 한 번에 추가할 수 있지만, 스크래치는 하나씩 추가해야 한다. 개별 모양, 소리도 마찬가지이다.
- 엔트리는 방향 뿐 아니라 이동방향이 있다. 스크래치에서는 스프라이트가 회전한 상태에서는 정방향 이동(90도)을 하려면 삼각함수를 이용해 x, y 좌푯값으로 변환해야 하지만, 엔트리에서는 이동 방향으로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. 또한 이동 방향은 오브젝트의 외관에는 영향이 안 가므로, 개인 변수 대용으로 쓸 수도 있다.[7]
- 스크래치는 친목을 제재하지 않지만, 엔트리에서는 과도한 친목이 허용되지 않는다.
그냥 반모도 안되게 해줬으면 좋겠다.
2.2. 스크래치의 장점 [편집]
- 스크래치는 엔트리에 없는 색인식 블록, 추가 블록의 새로고침 없이 실행하기 기능[8]이 존재한다.
- 매우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스크래치와 달리, 엔트리는 한국어와 영어만을 지원한다.[9]
- 스프라이트나 배경을 그릴 때 벡터 형식과 비트맵 형식을 지원하긴 하나, 스크래치에 비하면 벡터 형식에서의 기능들이 좀 부실하다.
- 엔트리는 벡터 오브젝트를 추가해도 작품 내에서는 비트맵으로 변환되어 화질이 저하되지만, 스크래치는 벡터의 화질 그대로 유지된다.
- 최적화 면에서는 스크래치 쪽이 많이 나은 편이다.
- 2025년 9월 기점으로 엔트리는 운영이 어려운 기능을 서서히 삭제한다고 밝혔기에, 스크래치가 운영 면에서 더 유리해지는 추세이다.
3. 파이썬과의 비교 [편집]
3.1. 엔트리의 장점 [편집]
- 엔트리는 텍스트 코딩 대신 블록 코딩을 사용하기 때문에, 사람들이 파이썬보다 더 입문하기 쉬운 사이트이다.
- 엔트리에서도 파이썬을 지원하기 때문에, 더 다양한 코딩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.
- 하드웨어와 연결시킬 수 있다.
- 파이썬에 비해서 메모리를 더 적게 사용한다.
- 오브젝트를 조정하기 쉽다.
3.2. 파이썬의 장점 [편집]
- 텍스트 코딩 중에는 가장 쉬운 난이도라, 다른 코딩 언어를 배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.
- 개발 시간이 매우 짧다.
- 과학이나 공학을 더 잘 사용할 수 있다.
- 엔트리파이썬에 비해서 기능이 우수하다.
- 친목이나 커뮤니티 분쟁이 일어나지 않는다.
- 여러 템플릿을 구하기 쉽다.
- 학생이 주요 연령층인 엔트리와 다르게, 연령대 폭이 넓어서 전문적인 작품도 만들 수 있다.
4. 코디니와의 비교 [편집]
4.1. 엔트리의 장점 [편집]
4.2. 코디니의 장점 [편집]
- AI를 중심적으로 배우기 좋다.
- 다양한 작품이 인작, 스선(우작)으로 선정된다.
- 엔트리의 1차정지, 2차정지, 경고같은게 없고, 규칙을 어기면 바로 계정을 삭제한다.
[1] 스크래치도 교육 중심적인 기능이 존재는 하지만, 엔트리에 비해 부실하다.[2] 서식(글꼴, 크기, 색깔)을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품의 퀄리티를 한층 높일 수 있다.[3] 사실 스크래치의 초창기 버전에는 장면 기능이 존재했지만 이후 삭제되었다.[4] 번역, 비디오 감지, 오디오 감지, 읽어주기[5] 작품을 정지하고 페이지를 닫아야 저장이 된다. 동시 접속자가 있을 때는 저장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.[6] 공유 변수/리스트에 비해 불안정하다는 문제가 있어 가끔씩 목록이 삭제된다.[7] 예시)원본의 이동 방향을 0으로 하고, 복제될 때마다 1씩 회전하면 복제본은 1, 2, 3...의 값을 갖게 된다.[8] 화면을 각 블록이 진행될 때마다 일일이 캐스팅하지 않기에 연산량을 극도로 줄일 수 있는 기능이다. 엔트리에서는 스크래치처럼 간편하지는 않지만 재귀함수로 구현은 가능하다.[9] 과거에는 베트남어와 일본어도 지원했다. 참고로 일본어를 선택하면 라인 엔트리로 이동됐었다.[10] 코딩을 많이 할수록 포인트를 더 많이 주는데, 그 포인트 수로 계급을 매긴다.[11] 호불호가 갈린다.